반응형

IT 스터디/논리 구조 스터디 4

단일 API / 복수 API 어떻게 설계해야 최대의 효율을 낼까? [API Gateway Pattern]

Q. 만약 프론트 한 페이지 내에서 주문 명세 API, 배송명세 API 등 여러 api 를 불러 와야 할 때, API를 여러 개 선언해서 각 데이터를 불러오는 게 효율적일까? 아니면 백에서 API 하나로 여러 개를 불러오는 로직을 구현하는 게 효율적일까 ? 이유는 가져와야 하는 API 수가 많아질수록 코드가 지져분해지기도 하고 백에서 요청 받은 파라미터나 타입을 삼항연산자나 포문으로 한번 걸러서 요청타입에 맞는 데이터를 반환하게 하는게 클린 코드를 위한 더 나은 방법아닐까? 라는 의문이 갑자기 들었습니다. A. 이 질문은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간의 API 호출 전략과 관련 있으며, 최적의 접근 방식은 애플리케이션의 요구사항, 성능, 유지보수성 및 확장성을 고려해 결정되어야 한다. 여러 개의 API를 선언해..

웹 브라우저의 동작 (2) - 브라우저 주소창에 www.naver.com을 치면 일어나는 일

[2023-12-30 2차] 논리구조 스터디 공부를 위해 학습한 글입니다. 브라우저에 naver.com을 입력하는순간 어떤일이 벌어질까? 1. IP 주소 찾는 과정 사용자가 웹에 네이버 닷컴을 검색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브라우저가 검색어 (naver.com) 을 인식하게 된다. 하지만 컴퓨터가 찾는 주소는 아이피 주소를 찾게 된다. 고로 네이버를 검색했네? → 그래서 아이피 주소가 뭔데? 라고 질의를 던지게 되고 질의를 던지는건 DNS 즉, domain name service 로 아이피 주소를 찾기 위해 찾아가게 된다. DNS 에서 주소를 던져주게 되면 해당 아이피 주소를 기반으로 찾고자 하는 웹사이트를 방문하게 된다. 1-1. 심층 탐구 조금더 심층적으로 들어가보자면 DNS server에도 단계가 ..

웹 브라우저의 동작원리 (1) - 브라우저의 구조

[2023-12-30 2차] 논리구조 스터디 공부를 위해 학습한 글입니다. 브라우저의 구조 사용자 인터페이스 : 뒤로가기 홈으로 버튼 등등 사용자가 사용하는 부분 렌더링 엔진 : 웹 사이트를 그려주는 부분 브라우저 엔진 :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명령을 받고 그에 따른 렌더링 엔진으로 명령을 내려주는 부분 다음 글 👇 웹 브라우저의 동작 (2) - 브라우저 주소창에 www.naver.com을 치면 일어나는 일 웹 브라우저의 동작 (2) - 브라우저 주소창에 www.naver.com을 치면 일어나는 일 [2023-12-30 2차] 논리구조 스터디 공부를 위해 학습한 글입니다. 브라우저에 naver.com을 입력하는순간 어떤일이 벌어질까? 1. IP 주소 찾는 과정 사용자가 웹에 네이버 닷컴을 검색하면 어떤 일..

spring boot, JPA 요청과 응답

논리구조 스터디 공부를 위해 학습한 글입니다. JPA logic architecture 계층도 API Layer 계층 API 계층: 사용자의 요청을 받고 응답을 반환하는 계층 1. 클라이언트 요청: 사용자의 브라우저나 앱 등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HTTP 요청을 보고 응답을 받게된다.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레벨의 요청과 응답을 처리하게 된다. 2. 컨트롤러(Controller): Controller 클래스가 클라이언트의 HTTP 요청을 받고, 특정 요청에 대해 어떤 처리를 해야 할지 결정하는 엔드포인트를 정의한다. (GET,POST,PUT, DELETE) 3. DTO(Data Transfer Object): 계층 간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다. 클라이언트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서버 내부로 전달하거나, 서버에서 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