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java 3

[JAVA] thread

Servlet을 공부하다 보니까 java thread를 이용해서 동작한다는 특징이 있어서 이전에 공부했던 내용을 간단하게 복기하는 시간을 가져보겠다. Java에서 스레드를 사용하는 기본적인 예시와 왜 스레드를 사용하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보겠다. 스레드 사용 예시 Java에서 스레드를 사용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Thread 클래스를 상속받는 방법과 Runn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방법이다. 1. Thread 클래스 상속 public class MyThread extends Thread { public void run() { // 여기에 스레드가 실행할 코드를 작성합니다. System.out.println("스레드 실행 중...");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기술 공부/Java 2023.12.10

[JPA] LazyInitializationException 오류

발생한 오류 LazyInitializationException 오류 메시지 org.hibernate.LazyInitializationException: failed to lazily initialize a collection of role: com.api.teamfresh.entity.Customer.keepers: could not initialize proxy - no Session 관련 코드: VOC voc = vocService.findById(id); 원인: 이 오류는 Hibernate에서 엔터티의 속성이 지연 로딩(Lazy Loading)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세션이 닫힌 후에 해당 속성에 접근하려고 할 때 발생한다. 여기서는 VOC 엔터티 내의 Customer 의 keepers 속성이 지연..

spring boot, JPA 요청과 응답

논리구조 스터디 공부를 위해 학습한 글입니다. JPA logic architecture 계층도 API Layer 계층 API 계층: 사용자의 요청을 받고 응답을 반환하는 계층 1. 클라이언트 요청: 사용자의 브라우저나 앱 등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HTTP 요청을 보고 응답을 받게된다.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레벨의 요청과 응답을 처리하게 된다. 2. 컨트롤러(Controller): Controller 클래스가 클라이언트의 HTTP 요청을 받고, 특정 요청에 대해 어떤 처리를 해야 할지 결정하는 엔드포인트를 정의한다. (GET,POST,PUT, DELETE) 3. DTO(Data Transfer Object): 계층 간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다. 클라이언트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서버 내부로 전달하거나, 서버에서 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