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논리구조 2

웹 브라우저의 동작 (2) - 브라우저 주소창에 www.naver.com을 치면 일어나는 일

[2023-12-30 2차] 논리구조 스터디 공부를 위해 학습한 글입니다. 브라우저에 naver.com을 입력하는순간 어떤일이 벌어질까? 1. IP 주소 찾는 과정 사용자가 웹에 네이버 닷컴을 검색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브라우저가 검색어 (naver.com) 을 인식하게 된다. 하지만 컴퓨터가 찾는 주소는 아이피 주소를 찾게 된다. 고로 네이버를 검색했네? → 그래서 아이피 주소가 뭔데? 라고 질의를 던지게 되고 질의를 던지는건 DNS 즉, domain name service 로 아이피 주소를 찾기 위해 찾아가게 된다. DNS 에서 주소를 던져주게 되면 해당 아이피 주소를 기반으로 찾고자 하는 웹사이트를 방문하게 된다. 1-1. 심층 탐구 조금더 심층적으로 들어가보자면 DNS server에도 단계가 ..

spring boot, JPA 요청과 응답

논리구조 스터디 공부를 위해 학습한 글입니다. JPA logic architecture 계층도 API Layer 계층 API 계층: 사용자의 요청을 받고 응답을 반환하는 계층 1. 클라이언트 요청: 사용자의 브라우저나 앱 등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HTTP 요청을 보고 응답을 받게된다.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레벨의 요청과 응답을 처리하게 된다. 2. 컨트롤러(Controller): Controller 클래스가 클라이언트의 HTTP 요청을 받고, 특정 요청에 대해 어떤 처리를 해야 할지 결정하는 엔드포인트를 정의한다. (GET,POST,PUT, DELETE) 3. DTO(Data Transfer Object): 계층 간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다. 클라이언트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서버 내부로 전달하거나, 서버에서 처..

반응형